Thinking Out Loud

[IT Infra 기초] 물리 서버 본문

IT Infra

[IT Infra 기초] 물리 서버

주롱주롱 2021. 10. 8. 10:13

# 물리 서버

- 서버 → 랙(Rack)에 장착됨

랙 구성 예시

# 랙(Rack) 규격

- 폭 : 19인치

- 높이 : 4.5cm/1칸

- 칸 개수 : 40 ~ 46개

- 한 칸 = 1U = 서버 높이 단위

  (ex. 2U 서버 = 2칸의 서버 (높이 약 9cm))

# 서버 설치 시 중요한 정보

- 서버 크기(U)

- 소비전력(A)

- 중량(kg)

# 서버 내부 구성

서버 내부 예시

  맨 왼쪽 (4번 왼쪽) - HDD

  1번 - FAN

  2번 - 메모리

  3번 - CPU (프로세서)

  9번, 10번 - PCI 슬롯

* 버스(Bus) : 컴포넌트를 연결하는 선

* CPU와 메모리는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

* PCI 슬롯 :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곳. 보통 CPU가 PCI를 직접 제어

# BMC

-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

- 서버의 HW 상태 감시. 독립적으로 움직임

- ex) 서버의 HW에서 장애 발생 시, BMC 콘솔을 통해 서버 상태 확인 및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서버를 원격으로 재시작


참고 : 

야마자키 야스시 외 3, 「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」, 제이펍

랙 구성 - https://zetawiki.com/wiki/%EC%84%9C%EB%B2%84_%EB%9E%99,_%EB%9E%99_%EC%9C%A0%EB%8B%9B

서버 내부 - http://www.secumoa.com/page/sub4_3

'IT Infr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IT Infra 기초] 버스 (Bus)  (0) 2021.10.12
[IT Infra 기초] I/O 장치  (0) 2021.10.12
[IT Infra 기초] CPU와 메모리  (0) 2021.10.08
[IT Infra 기초] 인프라 아키텍처  (0) 2021.10.07
[IT Infra 기초] 물리 서버 vs 논리 서버  (0) 2021.10.0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