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it인프라
- 리눅스사용자관리
- 센트
- 병렬처리
- 리눅스재부팅
- it
- 센토스
- linux
- IT인프라구조
- centos자동로그인
- DB서버
- 리눅스마스터
- 리눅스vi
- 리눅스
- linuxmaster
- 웹서버
- 리눅스사용자생성
- IT인프라기초
- 운영체제
- 서버
- OS
- 리눅스자동로그인
- 리눅스도움말명령어
- 인프라구조
- 인프라
- root막기
- 리눅스명령어
- 리눅스사용자파일
- 물리서버
- CentOS
- Today
- Total
목록인프라구조 (2)
Thinking Out Loud
# 큐 (Queue) - 대기 행렬 - 동작 원리 : FIFO (First In First Out. 선입선출) # 큐가 사용되는 곳 - CPU 처리를 기라리고 있는 프로세스/스레드 행렬 - 하드디스크 등의 저장소 읽기 처리를 기다리고 있는 I/O 요구 행렬 - 네트워크 접속 성립을 기다리고 있는 접속 요구 행렬 # 런큐 (Run-queue) - CPU를 기다리고 있는 프로세스 행렬 - (런큐에 쌓인 프로세스 수) ÷ (코어 수) = 1 : 문제 없음 - CPU에서 처리중인 프로세스를 런큐로 인식할지는 OS 종류마다 다름 - 리눅스 : 런큐로 인식 - 런큐 관리 (행렬 정리) : OS 커널의 프로세스 스케줄러 기능 # CPU 처리를 기다리는 프로세스/스레드 수 확인 방법 - 유닉스 계열 OS : vmsta..

# CPU - Central Processing Unit - 서버 중심에 위치해서 연산 처리 실시 - 명령을 받아서 연산을 실행하고 결과를 반환 (연산 1초에 10억 회 이상) - 명령 및 데이터는 기억 장치나 입출력 장치를 통해 전달됨 - 하나의 CPU에 여러 개의 '코어'가 존재하는 멀티 코어화가 진행됨 - 코어 : 각자 독립된 처리가 가능 - 표면 : 냉각기 설치됨 (대량의 전기신호 처리 → 발열 多) - 뒷면 : 주변을 감싸고 있는 대량의 핀이 버스에 연결되어 있음 → 메모리나 디스크와 데이터 교환 # 메모리 - 기억 영역 - 위치 : CPU 옆 - CPU에 전달하는 내용이나 데이터 저장, 처리 결과 받음 - 메모리에 저장되는 정보 → 영구성 X = 서버 재시작 시 없어지는 정보 # 메모리를 사용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