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it인프라
- 인프라
- 리눅스마스터
- 웹서버
- centos자동로그인
- 물리서버
- 리눅스재부팅
- 리눅스사용자생성
- DB서버
- OS
- root막기
- 리눅스명령어
- CentOS
- 리눅스도움말명령어
- 서버
- linux
- IT인프라구조
- 리눅스
- IT인프라기초
- 인프라구조
- 리눅스사용자파일
- linuxmaster
- 병렬처리
- it
- 운영체제
- 리눅스사용자관리
- 센트
- 리눅스vi
- 센토스
- 리눅스자동로그인
- Today
- Total
목록병렬처리 (2)
Thinking Out Loud
# 배타적 제어 - 여러 사람이 한 물건을 공유하는 상황에서 발생 - 다른 것을 배제하는 제어 for 성능 - 여러 사람이 공유하는 물건일 경우, 누군가 그 물건을 사용하고 있으면 다른 사람은 사용 불가 (동시 사용 시 고장) - ex) 회의실 사용중/공실 표기 → 다른 사람의 이용에 영향 # 배타적 제어가 필요한 경우 = 병렬 처리 - 병렬 처리에서 배타적 제어가 필요한 이유 - 병렬 처리 → 공유 데이터 이용 - 부분적으로 직렬 처리를 사용해야만 되는 경우 문제 발생 多 # 배타적 제어의 특징 - 복수의 처리가 공유 자원(CPU, 메모리, 디스크 등)에 동시에 액세스(주로 갱신) → 불일치 발생 가능성 보호 - 특정 처리가 공유 자원을 이용하고 있는 동안 다른 처리가 이용할 수 없게 함 - ex) 3..
# CPU 수가 늘어난 배경 - 소비 전력 & 발열 문제 → CPU 제조사가 클럭(Clock) 속도를 올리는 대신 코어 수를 늘려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방침 전환 # 직렬/병렬 1. 직렬 - 일직선으로 나열 - 직렬 처리로 속도 향상에 한계 有 2. 병렬 - 두 줄 이상으로 나열 - 속도는 빨라지지 않더라도, 단위 시간당 처리량은 늘릴 수 있음 - 병렬화 ≠ 성능 향상 1) 병목지점 - 분기점, 합류점, 직렬화 구간이 병목지점이 되기 쉬움 - 병목지점에서 혼잡도↑, 사고 발생↑ 2) 오버헤드 - 오버헤드 : 병렬화하여 일을 분담해서 처리한 후 다시 한 곳에 모으는 직렬 처리 시 발생하는 속도 저하 현상 - 오버헤드 예상 필요 - 오버헤드를 감안하더라도 효과가 있을 경우 병렬화 3. 장단점 직렬 병렬 장점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