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hinking Out Loud

[IT Infra 기초] 고정 길이 / 가변 길이 본문

IT Infra

[IT Infra 기초] 고정 길이 / 가변 길이

주롱주롱 2021. 10. 22. 16:22

# 고정 길이 / 가변 길이

  고정 길이 (Fixed-length) 가변 길이 (Variable-length)
특징 - 크기 고정
- 미리 크기가 정해져있는 경우
- 컴퓨터 내부 메모리, 디스크 등 HW 데이터 처리 형태
- 크기 변경 가능
- 미리 크기가 정해져있지 않은 경우
예시 - 분류별로 정해져있는 칸막이 책꽂이 - 책 칸막이가 움직이면서 분류 조절
장점 - 성능↑ : 정리가 되어있어 원하는 것에 쉽게 액세스
  가능
- 데이터를 꽉 채워 담을 수 있음
   → 공간 절약유용한 활용 가능
단점 - 각 칸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 불가
- 남는 공간이 생겨 공간의 효율적 사용 ↓
- 성능↓ : 정리가 안되어있어 원하는 것을 찾으려면 시간↑
- 재이용률↓ ⇒ 데이터 편중

 

# 고정 길이 / 가변 길이 사용되는 곳

1. 파일 시스템

ex) 윈도우즈 NTFS

     - 고정 길이로 파일 저장

     - 디스크에서는 고정 길이 영역에 파일이 저장됨

     - 파일 속성 > 크기 / 디스크 할당 크기

        (크기 :실제 데이터 크기 / 디스크 할당 크기 : 저장 시 사용하는 크기)

     - ex) 파일 크기는 97KB 이지만 할당은 100KB로 고정되어서 저장됨

2. 네트워크

- 데이터 전송 시 가변/고정 결정

- ex) 2000바이트 데이터

       - TCP/IP로 전송할 데이터는 최대크기(MMS) 1460byte 로 고정되어 전송

       - 나머지 540byte는 가변적으로 전송됨

 


참고 : 야마자키 야스시 외 3, 「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」, 제이펍